백색왜성(2)
-
초신성이란?
1900년대의 신성은 티코 브라에나 케플러 혹은 그 이전의 중국 천문학자들이 연구했던 신성만큼 밝지는 않았다. 1934년에 스위스의 천문학자 프리츠 츠비키는 이처럼 매우 밝은 별에 '초신성'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프랑스의 천문학자 샤를 메시에는 혜성을 추적하고 있었는데 가끔씩 구름 모양의 얼룩을 혜성으로 착각하기도 했다. 그래서 그는 혜성을 추적하는 다른 관측자를 위하여 이러한 얼룩의 위치를 목록으로 만들었다. 그의 목록 맨 처음에 올라 있는 M1은 황소자리에 있는 희미한 점이었다. 1844년에 영국의 천문학자인 윌리엄 파슨스 로스 경이 M1을 자세히 연구했다. M1은 구부러진 빛줄기가 있는 거친 가스 구름처럼 보였다. 그래서 그는 M1을 '게성운'이라고 불렀고 그후로 이 이름이 M1의 이름으로 정착되었..
2020.03.19 -
백색 왜성은 어떤 별인가?
별은 일단 적색 거성이 되면 조용한 일생을 유지시켜 주던 융합 에너지를 대부분 소모하게 된다. 특히 팽창한 이후로는 그때까지보다도 더 빨리 융합 에너지를 소모한다. 그리하여 겨우 몇백만 년만 지나면 더 이상 팽창할 수 없게 된다. 적색 거성이 오랫동안 그 상태를 유지한다면 그들은 하늘 여기저기에 흩어져 있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실제로 적색 거성의 수는 매우 적다. 이것은 적색 거성이 비교적 짧은 시간 동안 존재 하다가 사라져 버렸다는 걸 의미한다. 적색 거성은 팽창하는 데 필요한 에너지를 계속 공급받지 못하면 수축하여 원래 별보다 훨씬 더 작아져서 난쟁이별(왜성)이 된다. 별까지의 실제 거리를 최초로 알아냈던 베셀은 1844년에 시리우스의 움직임을 연구하고 있었다. 일반적으로 별들의 고유 운동은 매우 ..
2020.03.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