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양(3)
-
태양은 움직이고 있을까?
코페르니쿠스 이후에 사람들은 태양을 움직이지 않는 우주의 중심으로 여기게 되었다. 그러나 핼리가 항성이 움직인다는 사실을 발견한 뒤 별이 엄청나게 먼 거리에 있는 태양과 같은 존재일 것이라고 생각하면서부터 우리의 태양이 움직이지 않는 유일한 별이라는 사실은 점점 믿기 어려워지기 시각했으며, 수조마일이나 떨어진 별들이 태양을 중심으로 돌고 있다는 것은 더욱 믿기 어려워졌다. 이렇듯 모든 별들이 움직이는데 태양은 왜 움직이지 않을까? 태양은 다른 별에 비해 지구와 매우 가까이 있다는 점을 빼고는 특별한 점이 없다. 따라서 태양도 움직인다고 할 수 있다. 그렇다면 어떻게 태양의 움직임과 그 방향을 알아낼 수 있을까? 1805년에 허셜은 20여 년 간의 연구 끝에 그 문제에 대한 해답을 발견했다. 먼저, 별들이..
2020.03.15 -
태양은 얼마나 먼 곳에 있을까?
그리스 천문학자 아리스타르코스는 기원전 270년쯤에 시차를 이용하지 않고 태양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려고 시도했다. 이론적으로는 완벽한 방법이었지만 당시로서는 천구상에서 천체들의 정확한 각거리를 구할 수 없었기 때문에 결과는 크게 빗나가고 말았다. 아리스타르코스는 태양이 지구에서 8백만 킬로쯤 떨어져 있고, 그 지름은 지구 지름의 7배쯤이라고 결론지었던 것이다. 비록 계산 결과는 터무니없었지만 아리스타르코스는 이 과정에서 당시 사람들의 일반적인 생각과는 달리 지구가 태양 둘레를 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하지만 불행히도 당시에는 그의 계산 결과나 주장에 주의를 기울이는 사람이 하나도 없었다. 1600년대 초에 발명된 망원경으로 천체의 위치를 훨씬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게 되었다. 그 결과 맨눈으로 볼 때는..
2020.03.05 -
태양은 왜 식지 않을까?
태양은 얼마나 뜨거울까? 또 얼마나 강한 자기장을 갖고 있을까? 태양은 태양풍과 플레어, 뜨거운 코로나를 만들면서 엄청난 양의 에너지를 소비한다. 그러나 그토록 많은 에너지를 쓰는데도 태양은 왜 식지 않는 걸까? 태양은 엄청난 양의 빛과 열을 지구를 향해 쏟아 부지만 우리 지구가 얻는 것은 태양이 내는 전체 빛과 열의 극히 일부분에 불과하다. 다른 행성들이 받는 빛과 열도 마찬가지다. 따라서 태양이 내는 대부분의 빛과 열은 아깝게도 행성계 밖의 우주 공간으로 사라져 버린다. 태양은 46억 년 동안 한순간도 쉬지 않고 이처럼 많은 양의 에너지를 낭비해 왔고, 지금도 여전히 많은 에너지를 쓰고 있다. 그리고 앞으로도 몇십억 년 동안은 현재 상태를 유지하며 계속 에너지를 낼 것으로 보인다. 도대체 어떻게 해서..
2020.03.04